10-(1) 텍스트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하기 전에 어떤 전처리 과정을 거치나요?
10-(1) 텍스트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하기 전에 어떤 전처리 과정을 거치나요?
🟢 TBU
⚪ TBU..
🟢 예시 답안 (코드잇 제공)
- 텍스트 데이터를 모델에 적용하기 전에 반드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. 텍스트는 구조화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, 이를 수치적으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것이 전처리의 핵심 목적입니다.
- 가장 기본적인 전처리는 불필요한 문자 제거입니다. 예를 들어, HTML 태그, 특수 문자, 숫자, 이모지 등을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만 유지하는 식으로 데이터를 정리합니다.
- 그다음으로는 소문자 변환을 많이 사용합니다. 대소문자를 통일함으로써 ‘Apple’과 ‘apple’을 같은 단어로 취급하게 되어 불필요한 중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또한, 불용어 제거도 중요한 과정입니다. 불용어는 ‘의’, ‘이’, ‘가’, ‘the’, ‘is’, ‘and’처럼 자주 등장하지만 분석에 큰 의미가 없는 단어들로, 이들을 제거하면 모델이 더 중요한 단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
- 토큰화(Tokenization)*도 핵심 과정 중 하나입니다. 문장을 단어, 형태소, subword 단위 등으로 나누는 과정이며, 사용하는 언어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됩니다. 그 외에도 어간 추출(Stemming)이나 표제어 추출(Lemmatization)을 통해 단어의 기본 형태를 통일할 수도 있고, 중복 공백 제거, 이상값 필터링, 맞춤법 교정 등의 세부적인 정제 작업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.
-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텍스트를 모델이 학습할 수 있는 일관된 입력 형태로 정리함으로써, 학습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